D+308일 / 흐림
린도메-쿵스바카-바르베르
당황스러울 정도로 갑자기 추워진 날씨, 펑크가 난 타이어와 고장이 난 펌프를 정비하기 위해 자전거샵이 있는 쿵스바카까지 기차로 이동해야 한다. "쿵스바카에 정비샵이 있어야 하는데."
이동거리
64Km
누적거리
19,838Km
이동시간
3시간 02분
누적시간
1,452시간
기차
자전거정비
12Km / 0시간 30분
42Km / 2시간 32분
린도메
쿵스바카
바르베르
1,222Km
・국가정보
스웨덴, 스톡홀름
・여행경보
-
・언어/통화
스웨덴어, 코로나(1크로나=130원)
・예방접종
-
・유심칩
COMVIQ
・전력전압
◦2구220
・비자정보
무사증90일
・대사관
・긴급연락처
+82-2-3210-0404
정말 차가운 아침이다. 하얀 서리가 눈처럼 얼어붙은 풍경이다.
"안전하기는 최고네."
짐들을 챙기고 기차역으로 간다. 스웨덴의 기차역들은 승차장이 그냥 오픈되어 있다. 별도로 표를 파는 판매소도 없고, 출입구의 개찰구 같은 것도 없다.
"쿵스바카 가는 기차 여기서 타지?"
"응. 10분 후에 기차가 올 거야."
"30크로나. 기차 안에서 살 수 있는데 그냥 타는 사람들도 많아!"
"아니, 이런 꿀팁을!"
서너 군데 자전거샵이나 정비샵이 있는 스몰 타운인 쿵스바카에서 펌프나 튜브를 구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좀 더 큰 바리베르까지 갈까?"
"이 기차 종점이 쿵스바카예요?"
"응."
"아, 또 비야?"
비를 맞고 정비가 불확실한 쿵스바카의 자전거샵까지 자전거를 끌며 가고 싶지 않다.
기차역에 있는 프레스뷔런 편의점에서 커피와 작은 빵 세트를 먹으며 바리베르까지 기차가 있는지 검색을 한다.
"오, 있다!"
쿵스바카에서 바리베르로 가는 기차가 15분 후에 출발을 한다.
"건너편 2번 승차장에서 기차를 타면 돼!"
편의점 옆에 있는 티켓구매기를 확인하고 다시 여직원에게 티켓구매에 대해 묻는다.
"저기 기기에서 티켓을 사면되지?"
"응. 쿵스바카에서 바리베르로 가는 표를 사!"
기차표를 사고 나니 10분 정도밖에 시간이 없다. 자전거를 끌고 건너편 승차장으로 서둘러 이동을 한다.
"위험해!"
얼어붙은 길 위에서 사람들의 모습이 모두 똑같다. 길을 가던 여자가 자전거를 붙잡아 도움을 주고, 기차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아 마음은 급하고 길은 미끄러워 제대로 걸을 수가 없다.
여기저기 길에서 넘어지는 사람들의 모습이 정말 위험해 보인다.
"아, 죽겠다. 웃을 수도 울 수도 없고."
겨우 승차 시간에 맞춰 기차에 탑승하고 안도의 한숨을 쉰다.
"하하. 이번엔 확실하게 티켓을 구매했지."
"자전거 여행? 한국에서 온 거야?"
"응. 세계여행 중이야!"
"나도 자전거 여행을 했어. 유럽의 일부지만. 허리가 안 좋아서 리컴번트 자전거를 타거든."
"오호!"
"어딜 가는 거야?"
"펌프가 망가져서 자전거샵에 가야 해. 펑크도 수리해야 하고."
"내가 안내해 줄게. 여기 자전거샵이 딱 두 개뿐이라서."
남자를 따라 광장에 있는 자전거샵으로 들어간다. 깨끗한 분위기의 제법 잘 갖춰진 자전거샵이다.
"고마웠어!"
남자는 여행에 대해 덕담을 하고 웃으며 떠난다.
펌프와 휴대용 패치, 본드를 고르고 튜브도 새것으로 교체를 한다. 정비사의 곁에서 튜브를 교체해도 크게 의식을 하지 않고, 타이어 스틱도 말없이 빌려주고 공기주입 호스도 건네준다.
"펌프질을 안 하니 이렇게 좋다."
펑크가 난 튜브를 정비할 수 있는지 물어보니 정비사는 자꾸 튜브 패치를 가리킨다.
"설마, 여기서는 펑크수리는 안 해?"
"응."
"아, 미안! 한국에서는 자전거샵에서 펑크수리를 해주거든."
"알아요. 몽골에서 본드를 샀는데 잘 붙지가 않아서요. 아마도 중국제인가 봐요."
중국 제품이라는 농담에 여주인은 미소를 지으며 동의의 고갯짓을 한다.
여주인은 물통을 선물해 준다. 그리고는 음료수가 필요한지 묻는다.
"어떤?"
"음. 물에 약간의 과일주스와 설탕을 넣은 물."
"네. 주세요."
여자는 베리류의 과일주스를 물통에 담아 건네준다.
"1.5km 조금 머네."
비가 내리니 약간의 거리도 멀게 느껴진다.
다른 가게에 비해 저렴한 가격의 뷔페는 채식 전문 뷔페다.
"아, 이건 나와 전혀 맞지 않는 컨셉인데."
세 접시를 비우고 배가 다 채워지지 않았지만 식사를 마무리한다.
"오늘은 근처 숙소에서 쉬자. 텐트와 침낭도 말리고, 오늘은 정말 비를 맞고 싶지 않다."
"저기가 스포레 아저씨가 말한 오래된 요새군."
리셉션의 안내판이 붙은 문을 열고 들어가자 기다렸다는 듯이 중년의 여자가 반갑게 맞이해주며 열쇠가 담긴 봉투를 건네준다.
여자가 알려준 건물로 들어가니 건물의 내부가 황당하다.
"이 건물은 뭐지?"
"이거 감옥이야?"
병사들의 숙소인지 아니면 감옥인지 모르겠지만 중세시대의 건물을 호스텔로 운영하는 모양이다.
"특별한 경험이네. 어쨌든 독방이잖아."
궂은 날씨와 트러블이 일어나는 자전거 때문에 계속 일정이 늦어지는 것이 부담스럽다.
"몰라. 비 오면 기차, 안 오면 자전거!"
작은방에 누워있으니 예전 이곳에서 생활했던 사람들의 삶이 궁금해진다.
"행복했을까 아니면 각박했을까."
"안전하기는 최고네."
짐들을 챙기고 기차역으로 간다. 스웨덴의 기차역들은 승차장이 그냥 오픈되어 있다. 별도로 표를 파는 판매소도 없고, 출입구의 개찰구 같은 것도 없다.
"쿵스바카 가는 기차 여기서 타지?"
"응. 10분 후에 기차가 올 거야."
"30크로나. 기차 안에서 살 수 있는데 그냥 타는 사람들도 많아!"
"아니, 이런 꿀팁을!"
서너 군데 자전거샵이나 정비샵이 있는 스몰 타운인 쿵스바카에서 펌프나 튜브를 구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좀 더 큰 바리베르까지 갈까?"
"이 기차 종점이 쿵스바카예요?"
"응."
"아, 또 비야?"
비를 맞고 정비가 불확실한 쿵스바카의 자전거샵까지 자전거를 끌며 가고 싶지 않다.
기차역에 있는 프레스뷔런 편의점에서 커피와 작은 빵 세트를 먹으며 바리베르까지 기차가 있는지 검색을 한다.
"오, 있다!"
쿵스바카에서 바리베르로 가는 기차가 15분 후에 출발을 한다.
"건너편 2번 승차장에서 기차를 타면 돼!"
편의점 옆에 있는 티켓구매기를 확인하고 다시 여직원에게 티켓구매에 대해 묻는다.
"저기 기기에서 티켓을 사면되지?"
"응. 쿵스바카에서 바리베르로 가는 표를 사!"
기차표를 사고 나니 10분 정도밖에 시간이 없다. 자전거를 끌고 건너편 승차장으로 서둘러 이동을 한다.
"위험해!"
얼어붙은 길 위에서 사람들의 모습이 모두 똑같다. 길을 가던 여자가 자전거를 붙잡아 도움을 주고, 기차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아 마음은 급하고 길은 미끄러워 제대로 걸을 수가 없다.
여기저기 길에서 넘어지는 사람들의 모습이 정말 위험해 보인다.
"아, 죽겠다. 웃을 수도 울 수도 없고."
겨우 승차 시간에 맞춰 기차에 탑승하고 안도의 한숨을 쉰다.
"하하. 이번엔 확실하게 티켓을 구매했지."
"자전거 여행? 한국에서 온 거야?"
"응. 세계여행 중이야!"
"나도 자전거 여행을 했어. 유럽의 일부지만. 허리가 안 좋아서 리컴번트 자전거를 타거든."
"오호!"
"어딜 가는 거야?"
"펌프가 망가져서 자전거샵에 가야 해. 펑크도 수리해야 하고."
"내가 안내해 줄게. 여기 자전거샵이 딱 두 개뿐이라서."
남자를 따라 광장에 있는 자전거샵으로 들어간다. 깨끗한 분위기의 제법 잘 갖춰진 자전거샵이다.
"고마웠어!"
남자는 여행에 대해 덕담을 하고 웃으며 떠난다.
펌프와 휴대용 패치, 본드를 고르고 튜브도 새것으로 교체를 한다. 정비사의 곁에서 튜브를 교체해도 크게 의식을 하지 않고, 타이어 스틱도 말없이 빌려주고 공기주입 호스도 건네준다.
"펌프질을 안 하니 이렇게 좋다."
펑크가 난 튜브를 정비할 수 있는지 물어보니 정비사는 자꾸 튜브 패치를 가리킨다.
"설마, 여기서는 펑크수리는 안 해?"
"응."
"아, 미안! 한국에서는 자전거샵에서 펑크수리를 해주거든."
"알아요. 몽골에서 본드를 샀는데 잘 붙지가 않아서요. 아마도 중국제인가 봐요."
중국 제품이라는 농담에 여주인은 미소를 지으며 동의의 고갯짓을 한다.
여주인은 물통을 선물해 준다. 그리고는 음료수가 필요한지 묻는다.
"어떤?"
"음. 물에 약간의 과일주스와 설탕을 넣은 물."
"네. 주세요."
여자는 베리류의 과일주스를 물통에 담아 건네준다.
"1.5km 조금 머네."
비가 내리니 약간의 거리도 멀게 느껴진다.
다른 가게에 비해 저렴한 가격의 뷔페는 채식 전문 뷔페다.
"아, 이건 나와 전혀 맞지 않는 컨셉인데."
세 접시를 비우고 배가 다 채워지지 않았지만 식사를 마무리한다.
"오늘은 근처 숙소에서 쉬자. 텐트와 침낭도 말리고, 오늘은 정말 비를 맞고 싶지 않다."
"저기가 스포레 아저씨가 말한 오래된 요새군."
리셉션의 안내판이 붙은 문을 열고 들어가자 기다렸다는 듯이 중년의 여자가 반갑게 맞이해주며 열쇠가 담긴 봉투를 건네준다.
여자가 알려준 건물로 들어가니 건물의 내부가 황당하다.
"이 건물은 뭐지?"
"이거 감옥이야?"
병사들의 숙소인지 아니면 감옥인지 모르겠지만 중세시대의 건물을 호스텔로 운영하는 모양이다.
"특별한 경험이네. 어쨌든 독방이잖아."
궂은 날씨와 트러블이 일어나는 자전거 때문에 계속 일정이 늦어지는 것이 부담스럽다.
"몰라. 비 오면 기차, 안 오면 자전거!"
작은방에 누워있으니 예전 이곳에서 생활했던 사람들의 삶이 궁금해진다.
"행복했을까 아니면 각박했을까."
Trak 정보
GPS 정보
"Great Thanks : 후원해주신 모든 분들께 고개 숙여 감사드립니다!"
에릭스도자기, 찬숙, 이지, 혜영, 카일라스, 에릭누나, 달그림자, 불타, 파라, 뜨락, 고고싱, 부침이, 마이크로, 둥이, 장미, 일루, 앳찌, 짱돌, 울산 바이크하우스, 다빈치, 나도달인, 폴/해바라기, 걍바다, 유나, 김혜숙 산부인과, 일산쭈니, 소미에이, 고양을, 감사리, 파도, 방가/나리, 김윤구, 세콤염기섭, 최정현, 엘사
'Travelog > 스웨덴(19.11.26~12.06)'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0. 엥엘홀름, 지독한 바람 속을 달리다. 2019.12.05 (0) | 2019.12.06 |
---|---|
#309. 할름스타드, 바다를 바라보다. 2019.12.04 (0) | 2019.12.06 |
#307. 계속되는 어려움, 도와줘! 2019.12.02 (0) | 2019.12.04 |
#306. 블랙 프라이데이, 새 핸드폰을 구매하다. 2019.12.01 (0) | 2019.12.04 |
#305. 빌어먹을, 핸드폰을 도난 당하다. 2019.11.30 (0) | 2019.12.01 |